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평균에서 오는 우월감 - 이디야 녹차라떼

에세이/가계부 대신 에세이

by @blog 2024. 8. 3. 17:18

본문







 
 



 

  우리 부모님 집은 잔디밭이 깔린 마당과 마루 바닥은 그 비싸다는 편백 나무, 한옥 2층 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딱 성수기 때 1박에 60만 원 받는 펜션 같은 느낌이다. 그러다 보니 휴가철만 되면 언니를 포함해 형부, 조카들까지 부모님 집으로 찾아와서 휴가를 보내고 있으니, 시끌시끌하고 후끈후끈한 것이 아주 에어컨 온도가 27도 이하로 떨어지지를 않을 정도로 사람 사는 느낌 난다. 뭐 여기까지는 좋아. 또 내가 아이들 비위 잘 맞춰주니깐 조카들하고 노는 것도 문제없어. 다만 연례행사처럼 꼭 있는 절차, 걱정을 가장한 내 인생을 평가하려는 친척들의 시도에 난 불편함을 느끼곤 한다. 뭐 그런 거 있잖아. 대놓고 "돈 안 되는 짓을 왜 해?"라고 묻지는 않지만 “그거 아직도 해? 00작가님처럼 성공할 수 있어?"처럼 정해진 평균선에 살짝 틀어진 나를 파묘하려고 눈에 불을 켜는 느낌 말이지.

 

 
  결국 친구와 놀고 온다는 거짓말을 하고 이렇게 카페에 와서 혼자 글을 쓰는데 이제야 살 것 같더라고. 아 물론 진짜 친구와의 약속이 있었지만 도중에 취소되어 전화위복으로 녹차라떼 마시며 글 쓰고 있는 거다. 모두에게 미안하지만 조카보다 내가 쓴 글이 더 소중하고, 카페가 부모님 집보다 더 편안하며, 대화 하나 나누지 못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더 안정감을 느끼고 있으니 이거 뭔가 잘못된 거 같은데, 그치? 
 
 


2
 
 



  물론 한국 사회에서는 평균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전반적이 있다지만 특히 우리 집, 그러니깐 집안 식구는 많은데 가장이라는 분이 경제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엄마가 가장 역할을 맡게 된 집안에는 더욱 심하다. 물론 대놓고 말하지 않지. 하지만 간접적인 분위기로 뚜렷한 자아 형성을 하여 평균선에 벗어나는 순간, 엄마는 물론 같은 형제에게까지 비웃음 당할 것 같은 살얼음판이 우리 집 안에는 있었다. 그러나 내가 누구인가. 한 성격 하던 어무니보다 더 고집 센 사람이자 욕먹어도 나 하고 싶은 거 다하는 사람인 걸. 결국 나하고 싶은 길로 가게 되자 가족들의 눈총은 물론 어른답지 못하다는 남동생의 시비를 듣게 되면서 문제아 취급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정작 남동생 본인은 평균선에 벗어나게 되자 가족들과의 왕래를 스스로 끊어버렸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이 무엇인 줄 아는가? 우리 집 가장이 정한 평균선, 들어오면 욕먹지 않을 그 평균선이 다른 집의 평균선과 비교해 보면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우선 우리 집이 정한 '평균선 밖'은 지금 생각해도 참 웃긴데, (대학 가서 돈이 많이 들 수 있음으로) 인문계에 가지 않는 것, (부모가 학비를 부담할 수 있는) 대학교에 가지 않는 것, (자칫하면 돈이 많이 들 수 있는) 본인이 좋아할 만한 취미, 특기 가지지 않는 것, (돈이 많이 드는) 휴가철 여행 가자고 조르지 않기 등등... 이상하지 않는가?



3




  어디 이상한 평균선이 우리 집에만 있으랴. 사회가 정한 평균선 역시 별반 다르지 않게 이상하다. 나는 자주 사회가 정한 평균선이 가면 갈수록 얇아지고 있음을 느끼고 있다. 그러니깐 누군가에게 잔소리, 지적질, 걱정을 가장한 인생 평가를 피할 수 있는 평균선이 얇아지다 못해 휘어지고, 꺾어지고, 궤도까지 틀면서 점점 그 안에 포함되기 힘들다는 것이다. 우리 어무니 어린 시절에는 주판 잘하는 사람이 그렇게 뛰어난 인재라고 하던데. 나 때는 한창 창의력 타령, EQ타령하면서 그러한 능력을 가진 애가 취직 잘된다고 하던데. 요즘은 또 코딩이 핫하더만? 이렇게 '지적질 안 당할 수 있는 어린 인재’는 시대에 따라 자꾸 변하고 앞으로도 계속 변하겠지. 이 나라의 가장인 국가의 변덕에 따라서 말이야.



  결혼에 대한 평균선은 또 어떻고. 평균 월급은 300만 원 이상 이어야 하고, 대출 조금 끼고 자가집 보유, 자동차 보유, 취미는 독서에 성격은 털털, 덤덤, 곰 같은 성격이 아니면 결혼 하나로 인생 역전 해보려는 욕심 그득그득한 노총각, 노처녀 취급받지 않은가. 그리고 이 평균선에 속한 사람은 내가 다수에 속한다는 우월감에 빠지고 현실적인 조언을 한답시고 이 사람 저 사람 오지랖부리기 바쁘다.

 

  창피한 말이지만 나 역시 평균에 속했다는 자만심, 우월감을 느꼈던 적이 있다. 중견기업 사무직으로 입사하고 난 후 평균선안에 들었다고 이유로 큰소리 떵떵거리고 친척 가족들 앞에서 얼굴 빳빳하게 든 적이 있단 말이다. 하지만 문제는 바로 내 안의 나, 내 마음은 무슨 이유 때문인지 잔뜩 심통이 나있었고 얼마 있지 못하여 퇴사할 수밖에 없었다. 화나면 화난다면 말할 수도 없었고, 싫으면 싫다고 말할 수 없는 사육장 같은 그곳을 사랑할 수 없었던 거야. 물론 회사 생활이 원래 그렇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건 당신들의 사정이고요, 나는 나만의 사정이 있다. 모두에게 오지랖 부릴 수 있을 만큼 위대한 평균선에서 벗어날 가치가 있는 것이 있었단 말이다.


4
 


 
  한때 강아지구충제인 펜벤다졸이 암 퇴치 효과에 좋다는 말이 떠돌자 말기 암 환자들이 너도나도 구충제를 먹었던 사건이 있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말기 암 환자의 어리석은 판단, 비이성적인 행동에 비웃었지만 말기암 환자의 입장이 되지 못한 그대여, 그들의 행동에 뭐라 할 자격 없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절박한 심정이 되지 못하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조언은 어떠한 도움도 되지 않는다는 걸 우린 알아야 한다고. 희망도 주지 않고, 그렇다고 해서 당장 도움이 되지도 않는 ‘현실적인 조언’이 얼마나 앵무새 머릿속에서나 나올법할 예측가능하고 반복성만 가지고 있는지를 사람들은 모른다니깐? 말하는 사람은 절대 몰라.

 

  앵무새같이 평균평균 떠들어 대는 당신, 현재 자신이 평균선 안에 있고 거기에서 오는 안정감 하나만 믿으며 방심하지 마라. 왜냐면 당신도 언제든지 평균, 일상적, 보통이라는 선 밖으로 튕겨져 나갈 수 있으니깐. 생각해 봐. 당신이 변두리 밖에 서지 않다는 걸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데? 아무렇지도 않게 환자에게 사망 선고를 말하는 의사도 막상 자신의 사망 선고는 그 누구보다 유예시키는 것처럼 말이다.
 
 

관련글 더보기